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소득분위가 뭔데....
소득분위가 뭔데 장학금 수령에 영향을 미치는 걸까요?
장학금은 내가 받는건데
왜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시 해야 하는걸까요?
장학금을 수령 하기 위해서는 지급 기관의 기준을 아셔야 합니다.
🧾 소득분위, 어떻게 나누나요?
소득분위는 단순히 월급이나 연봉으로만 정해지지 않습니다.
정부는 ‘소득인정액’이라는 항목을 기준으로 다음 3가지를 종합해 계산합니다.
항목설명
소득평가액 | 본인 및 부모의 근로·사업·연금소득 등을 기준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주택, 자동차, 금융재산 등을 월소득으로 환산 |
소득인정액 |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즉, 소득이 적더라도 부모의 자산이 많으면 소득분위가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실제 수령액과 기준은?
1유형 국가장학금은 소득분위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집니다.
지금까지 1·2유형 구조를 정리했다면, 이번엔 소득분위별 실제 금액표와 함께
정부가 정한 소득인정액 기준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2025년 국가장학금 1유형 - 소득분위별 지급액
소득분위 | 등록금 지원 | 생활비 지원 | 총 지원 (최대) |
---|---|---|---|
기초생활수급자 | 700만원 | 350만원 | 1,050만원 |
차상위계층 | 700만원 | 350만원 | 1,050만원 |
1~3분위 | 700만원 | 150만원 | 850만원 |
4분위 | 520만원 | 0 | 520만원 |
5분위 | 390만원 | 0 | 390만원 |
6분위 | 368만원 | 0 | 368만원 |
7분위 | 120만원 | 0 | 120만원 |
8분위 | 67만5천원 | 0 | 67만5천원 |
※ 학기당 기준, 최대치이며 실제 수령액은 소득·재산·성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025년 월 소득인정액 구간표 (1인 기준)
소득분위 | 월 소득인정액 |
---|---|
1분위 | 약 100만원 이하 |
2분위 | 100~150만원 |
3분위 | 150~200만원 |
4분위 | 200~250만원 |
5분위 | 250~300만원 |
6분위 | 300~350만원 |
7분위 | 350~400만원 |
8분위 | 400~450만원 |
9분위 이상 | 지원 대상 아님 |
※ 가족 수, 지역, 재산 구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예시: 실제 수령액 계산
- 사례 1: 사립대 등록금 850만원, 소득 2분위 → 등록금 700 + 생활비 150 = 총 850만원 수령
- 사례 2: 국립대 등록금 400만원, 소득 6분위 → 등록금 368만원, 차액 32만원 자비 부담
🔹 다음 글 예고
👉 “장학금 받고 중도 해지하면 손해일까?” 조건별 수령액과 해지 시 주의사항 정리해드릴게요.
✨ 관련 시리즈 한눈에 보기 ✨
💡 아래 글들을 함께 보면 장학금 놓치지 않아요!
반응형
'🧠 정보형 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vs 국가장학금, 돈 되는 건 따로 있다! (1) | 2025.07.18 |
---|---|
장학금 받고 자퇴하면 얼마 돌려줘야 할까? 실제 환수 금액 공개 (0) | 2025.07.18 |
국가장학금 2유형, 언제 지급 되는거에요? (0) | 2025.07.18 |
국가장학금 두 번 받는 법 - 1유형 vs 2유형 완벽 정리 (0) | 2025.07.18 |
교육비 전액 돌려받는 법! 2025 교육급여 신청 총정리 (중위소득 50% 이하 필독) (0)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