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썸네일

     

    ? 소득분위가 뭔데....

     

    소득분위가 뭔데 장학금 수령에 영향을 미치는 걸까요?

     

    장학금은 내가 받는건데 

     

    왜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시 해야 하는걸까요?

     

    장학금을 수령 하기 위해서는 지급 기관의 기준을 아셔야 합니다.

    🧾 소득분위, 어떻게 나누나요?

    소득분위는 단순히 월급이나 연봉으로만 정해지지 않습니다.


    정부는 ‘소득인정액’이라는 항목을 기준으로 다음 3가지를 종합해 계산합니다.

     

    항목설명

    소득평가액 본인 및 부모의 근로·사업·연금소득 등을 기준
    재산의 소득환산액 주택, 자동차, 금융재산 등을 월소득으로 환산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즉, 소득이 적더라도 부모의 자산이 많으면 소득분위가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실제 수령액과 기준은?

    1유형 국가장학금은 소득분위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집니다.


    지금까지 1·2유형 구조를 정리했다면, 이번엔 소득분위별 실제 금액표와 함께


    정부가 정한 소득인정액 기준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2025년 국가장학금 1유형 - 소득분위별 지급액

    소득분위 등록금 지원 생활비 지원 총 지원 (최대)
    기초생활수급자 700만원 350만원 1,050만원
    차상위계층 700만원 350만원 1,050만원
    1~3분위 700만원 150만원 850만원
    4분위 520만원 0 520만원
    5분위 390만원 0 390만원
    6분위 368만원 0 368만원
    7분위 120만원 0 120만원
    8분위 67만5천원 0 67만5천원

    ※ 학기당 기준, 최대치이며 실제 수령액은 소득·재산·성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025년 월 소득인정액 구간표 (1인 기준)

    소득분위 월 소득인정액
    1분위 약 100만원 이하
    2분위 100~150만원
    3분위 150~200만원
    4분위 200~250만원
    5분위 250~300만원
    6분위 300~350만원
    7분위 350~400만원
    8분위 400~450만원
    9분위 이상 지원 대상 아님

    ※ 가족 수, 지역, 재산 구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예시: 실제 수령액 계산

    • 사례 1: 사립대 등록금 850만원, 소득 2분위 → 등록금 700 + 생활비 150 = 총 850만원 수령
    • 사례 2: 국립대 등록금 400만원, 소득 6분위 → 등록금 368만원, 차액 32만원 자비 부담

     

    🔹 다음 글 예고

    👉 “장학금 받고 중도 해지하면 손해일까?” 조건별 수령액과 해지 시 주의사항 정리해드릴게요.

    ✨ 관련 시리즈 한눈에 보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