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썸네일
    국가장학금은 중도 해지해도 전액 환수되지 않습니다.


    단, 상황별로 환수액과 감액 기준이 달라 사전에 꼭 체크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퇴·휴학·학기 중 이탈 등 다양한 케이스를 기준으로


    환수 금액, 장학금 유예, 복학 시 처리 방식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 중도 해지 유형별 정산 원칙

    유형 장학금 처리 비고
    휴학 복학 시 학기 연계 장학금은 보류 후 복학학기에 이어서 사용
    자퇴 이수 기간별 일부 환수 일수 기준 정산 (예: 50% 수업 이수 → 50%만 인정)
    제적/퇴학 전액 환수 가능 불성실 이탈 시 전체 환수
    전과/재입학 일부 대학 재심사 장학금 지급 주체가 바뀌는 경우, 신규 심사 필요

     

    🔍 실제 사례로 본 환수 금액 계산

    • 예시 1: 3월 말 자퇴 → 1학기 중 약 1개월만 이수 → 700만 원 중 약 580만 원 환수
    • 예시 2: 6월 초 자퇴 → 1학기 거의 이수 → 약 80~90% 인정, 70만 원만 환수
    • 예시 3: 등록 후 곧 휴학 → 장학금은 복학 학기로 이월 가능

    ※ 대학의 세부 규정과 교육부 장학기준에 따라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해지 시 유의사항

    • 무단 자퇴/제적은 전액 환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사유서 및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감액 처리 가능
    • 생활비 지원금도 함께 환수될 수 있음
    • 소득분위는 다음 학기에도 유지되며, 재신청 필요

    🧮 장학금 중도 해지 시 체크리스트

    • ✔️ 학교 장학팀에 문의 → 정산 기준 확인
    •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수혜 내역 확인
    • ✔️ 휴학/자퇴 신청 전 환수 조건 확인 필수

     

     

     

     

    🔹 다음 글 예고

    👉 청년도약계좌 vs 국가장학금, 어떤 게 더 이득일까?
    조건별 비교와 병행 가능 여부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관련 시리즈 한눈에 보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