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단, 상황별로 환수액과 감액 기준이 달라 사전에 꼭 체크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퇴·휴학·학기 중 이탈 등 다양한 케이스를 기준으로
환수 금액, 장학금 유예, 복학 시 처리 방식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 중도 해지 유형별 정산 원칙
유형 | 장학금 처리 | 비고 |
---|---|---|
휴학 | 복학 시 학기 연계 | 장학금은 보류 후 복학학기에 이어서 사용 |
자퇴 | 이수 기간별 일부 환수 | 일수 기준 정산 (예: 50% 수업 이수 → 50%만 인정) |
제적/퇴학 | 전액 환수 가능 | 불성실 이탈 시 전체 환수 |
전과/재입학 | 일부 대학 재심사 | 장학금 지급 주체가 바뀌는 경우, 신규 심사 필요 |
🔍 실제 사례로 본 환수 금액 계산
- 예시 1: 3월 말 자퇴 → 1학기 중 약 1개월만 이수 → 700만 원 중 약 580만 원 환수
- 예시 2: 6월 초 자퇴 → 1학기 거의 이수 → 약 80~90% 인정, 70만 원만 환수
- 예시 3: 등록 후 곧 휴학 → 장학금은 복학 학기로 이월 가능
※ 대학의 세부 규정과 교육부 장학기준에 따라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해지 시 유의사항
- 무단 자퇴/제적은 전액 환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사유서 및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감액 처리 가능
- 생활비 지원금도 함께 환수될 수 있음
- 소득분위는 다음 학기에도 유지되며, 재신청 필요
🧮 장학금 중도 해지 시 체크리스트
- ✔️ 학교 장학팀에 문의 → 정산 기준 확인
-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 수혜 내역 확인
- ✔️ 휴학/자퇴 신청 전 환수 조건 확인 필수
🔹 다음 글 예고
👉 청년도약계좌 vs 국가장학금, 어떤 게 더 이득일까?
조건별 비교와 병행 가능 여부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관련 시리즈 한눈에 보기 ✨
💡 아래 글들을 함께 보면 장학금 놓치지 않아요!
반응형
'🧠 정보형 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엄마 몰래 신청한 국가장학금, 통장에 52만원 꽂혔습니다 (실제 후기) (1) | 2025.07.18 |
---|---|
청년도약계좌 vs 국가장학금, 돈 되는 건 따로 있다! (1) | 2025.07.18 |
한국장학재단 1~8분위?(소득 분위, 장학금 수령 예상액 확인하기) (0) | 2025.07.18 |
국가장학금 2유형, 언제 지급 되는거에요? (0) | 2025.07.18 |
국가장학금 두 번 받는 법 - 1유형 vs 2유형 완벽 정리 (0)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