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정부에서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을 위해 양육수당과 아이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제도는 목적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 가정에 어떤 제도가 유리한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간단한 정보 입력으로 우리 집이 받을 수 있는 육아지원금 확인하기
🍼 양육수당
양육수당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직접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에게 현금으로 지급되는 복지입니다.
- 지원 대상: 만 0세 ~ 84개월(만 7세 미만) 아동 중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
- 지급 금액 (2024년 기준):
- 0~11개월: 월 20만 원
- 12~23개월: 월 15만 원
- 24개월 이상~취학 전: 월 10만 원
-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
- 오프라인: 아동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 신청 기한: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월부터 소급 지급 가능
- 지급일: 매월 25일 경
- 주의사항: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면 양육수당 중단
👉 양육수당 외 우리 집이 받을 수 있는 복지금도 확인해보세요
👩👧 아이돌봄 서비스
맞벌이, 한부모, 긴급 상황 등으로 아이를 돌볼 수 없는 경우, 전문 아이돌보미가 가정에 방문하여 아동을 돌봐주는 서비스입니다.
- 지원 대상: 만 12세 이하 아동 (소득 무관, 맞벌이/다자녀/위기가정 우선)
- 서비스 유형:
- 시간제 돌봄: 일시적 외출 시 (기본 2시간 이상)
- 종일제 돌봄: 만 3개월 ~ 36개월 이하 대상, 월 120시간 이상 이용
- 질병감염아동 돌봄: 병원 동행 및 자택 돌봄
- 이용 요금: 시간당 11,000원 ~ 12,000원 (2024년 기준)
- 정부 지원율: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에 최대 90% 지원 (가~라형 등급 적용)
- 신청 방법:
-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 주민센터 방문 신청도 가능
- 주의사항: 종일제 아이돌봄 이용 시 양육수당 중단, 시간제는 병행 가능
📍 지자체별 추가 혜택도 꼭 확인하세요!
일부 지자체는 자체 예산으로 양육수당을 추가 지급하거나, 아이돌봄 자부담을 경감해주고 있습니다.
📌 양육수당 추가 지원 사례
- 서울 성동구: 가정양육 장려금 월 10만 원 추가 지급
- 경기도 수원시: 월 10만 원 별도 가정양육수당 (24~86개월 대상)
- 부산 해운대구: 첫째아 기준 연 30만 원 지급
- 세종시: 출산·양육 장려금 복합 운영
📌 아이돌봄 추가 지원 지자체
- 서울시: 한부모·장애가정 아이돌봄 전액 지원
- 고양시: 아이돌봄 자부담 50% 추가 지원
- 대구시: 다자녀 가구 우선 배정 및 감면
📊 우리 집은 어떤 제도가 맞을까?
- 🏠 가정 양육 위주 → 양육수당
- 👨👩👧👦 맞벌이 또는 외출 많음 → 아이돌봄 시간제
- 🕒 장시간 돌봄 필요 → 아이돌봄 종일제 (양육수당 중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