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정부는 생계가 어려운 가구와 등록장애인을 위해 다양한 현금성 및 현물성 복지혜택을 제공합니다.
2025년에도 중위소득 기준과 물가상승에 맞춰 복지 수준이 일부 조정될 예정입니다.
💡 내가 받을 수 있는 생계급여, 주거비, 전기요금 감면까지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
👨👩👧👦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 의료, 주거, 교육의 4가지 영역에 대해 정부가 보조하는 대표적인 복지제도입니다.
- 지원 대상: 중위소득 30~50% 이하 가구 중 재산 및 부양의무자 기준 충족자
- 소득기준 예시 (2025년 추정):
- 1인가구 생계급여 기준: 약 66만 원 이하
- 4인가구 생계급여 기준: 약 183만 원 이하
- 급여 종류:
- 생계급여: 현금 지급
- 의료급여: 진료비 100% 지원
- 주거급여: 전세/월세 또는 공공임대주택 지원
- 교육급여: 학용품비, 급식비, 입학금 등 지원
- 신청 방법: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장애인 복지 지원
등록장애인을 위한 정부 복지는 소득보장, 의료비, 활동지원, 통신·교통·에너지 요금 감면 등 매우 다양합니다.
- 지원 대상: 등록장애인 (장애정도 ‘심함’ 또는 ‘약함’ 등급 기준)
- 주요 혜택:
- 장애인연금: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우선)
- 장애수당: 만 18세 이상 경증장애인 중 저소득층
- 활동지원서비스: 일상생활 보조 인력 지원
- 통신비/교통비/전기요금 감면 등 생활비 절감 지원
- 신청 방법: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보건복지부 상담센터(☎129)
📍 지자체별 추가 지원 확인
💰 기초생활수급자 추가 혜택 사례
- 서울시: 생계급여 외 에너지 지원비, 생필품 바우처 추가 지급
- 대전시: 기초생활수급 아동 대상 월 10만 원 복지카드 제공
- 경기도 광주시: 수급자 자녀 교육비, 교복비 추가 지원
♿ 장애인 대상 지자체 특화 제도
- 부산시: 등록장애인 대상 시내버스 완전 무료
- 경기도: 장애인 보조기기 및 보청기 무상 지원 확대
- 광주광역시: 활동지원 인력 시간 확대 (월 30시간 → 40시간)
🔍 유의사항 꼭 확인하세요
- 소득 및 재산 기준은 매년 바뀌며, 지자체마다 적용 방식이 다를 수 있음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는 생계급여에만 해당
- 장애인연금은 중증 등록 기준 + 소득인정액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