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최신 정리 (가구별 금액 + 활용법까지)

    2025년 각종 복지제도와 지원금 신청의 기준이 되는 핵심 지표,

     

    바로 기준 중위소득표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표를 한눈에 정리하고,

     

    활용되는 대표 복지제도까지 함께 소개드립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가구원 수 중위소득(월) 60% 기준 150% 기준
    1인 2,206,000원 1,323,600원 3,309,000원
    2인 3,638,000원 2,182,800원 5,457,000원
    3인 4,692,000원 2,815,200원 7,038,000원
    4인 5,738,000원 3,442,800원 8,607,000원
    5인 6,751,000원 4,050,600원 10,126,500원
    6인 7,747,000원 4,648,200원 11,620,500원
    7인 8,737,000원 5,242,200원 13,105,500원

    ※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 고시 기준

     

     

    ◈ 기준 중위소득이 활용되는 대표 제도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 청년지원금 (청년월세, 병역복무경비 등)
    • 한부모가정 지원금
    • 긴급복지지원제도 (소득감소·위기 상황)
    • 차상위계층 확인 및 건강보험료 감면

    💡 중위소득 기준 확인 시 주의할 점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을 기준으로 소득판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에 따라 판정기준표가 다릅니다.

    📌 각 제도별 소득기준이 “중위소득 30~150%” 등 다양하게 적용되므로, 정확한 해당 여부는 반드시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관련글 시리즈 보러가기

    ※ 작성일 기준: 2025년 7월 최신 중위소득 반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