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이 글에서는 국민은행, 새마을금고, 저축은행의 마이너스 통장 금리를 비교하고, 실제 사용 시 주의사항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 마이너스 통장이란?
마이너스 통장은 신용한도 대출의 일종으로, 은행이 정해준 한도 내에서 잔고가 없어도 인출이 가능한 상품입니다.
급할 때 꺼내 쓸 수 있다는 점에서 비상금 통장 역할을 하지만,
사용한 만큼 이자가 붙고 신용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누가 만들 수 있나요?
- 직장인: 6개월~1년 이상 재직 + 일정 급여 입금 내역
- 프리랜서/사업자: 소득증빙 1년 이상 + 종합소득세 신고 확인서
- 신용 점수: NICE 기준 약 700점 이상이 보통 조건
💸 이자 구조 & 계산 예시
마이너스 통장은 사용한 금액에 대해서만 이자가 부과되는 구조입니다.
다만, 신용대출보다 이자율이 1~2%p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 마이너스 통장 한도: 1,000만 원
- 실제 사용액: 300만 원
- 연이율: 6.0%
👉 하루 이자 = 300만원 × 6.0% ÷ 365 = 약 493원
👉 한 달 사용 시 약 1만 5천 원의 이자 발생
🏦 은행별 마이너스 통장 금리 비교표 (2025년 7월 기준)
구분 | 기관명 | 금리 범위 | 비고 |
---|---|---|---|
제1금융권 | 국민은행 | 연 3.85% ~ 5.8% | 기준금리 + 가산금리 |
제1금융권 | 카카오뱅크 | 연 5.01% ~ 7.10% | 기준금리 2.53% 기준, 2025.07 기준 |
제1금융권 | 하나은행(기업) | 연 4.58% ~ 12% | A1등급 기준 최저 4.58% |
상호금융권 | 새마을금고 | 연 2.09% ~ 4.89% | 협약 여부, 우대조건 따라 다름 |
상호금융권 | 신협 | 개별 심사 후 결정 | 815 마이너스통장 대출 상품 기준 |
제2금융권 | 저축은행(SBI 등) | 연 7% ~ 19% 이상 | 신용도 따라 금리 격차 큼 |
📌 실제 사용 시나리오
① 직장인 A씨: 월급 3일 전인데 카드값 자동이체가 잡힘. 마이너스 통장으로 50만 원 인출 → 월 이자 약 2천 원.
② 프리랜서 B씨: 갑작스러운 병원비 100만 원 발생. 새마을금고 마통으로 사용 → 저금리 + 연체 없이 다음 달 상환
⚠️ 연체 시 불이익 & 신용 영향
- 마이너스 통장은 상환일 없이 계속 사용 가능하나, 잔액이 한도에 근접할수록 신용점수 하락
- 60일 이상 연체 시 '연체기록' 등록 → 다른 금융상품 이용 제약
- 한도는 있지만 사용 안 하면 신용등급 영향은 미미 (단, 금융사별 심사 기준 있음)
🛠️ 개설 팁 & 한도 관리법
- 급여통장과 같은 은행에서 개설 시 우대금리 적용 가능성 높음
- 한도를 크게 열기보다는 실제 사용 목적에 맞게 설정
- 필요 없을 땐 정리하거나 한도 축소 신청해 신용도 관리
🔗 공식 참고 사이트
✅ 정리: 마이너스 통장은 자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오히려 신용 하락과 이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은행별 금리를 꼼꼼히 비교하고, 짧게,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하세요!
은행별 금리를 꼼꼼히 비교하고, 짧게,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