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가을무 심기는 여름철 더위가 한풀 꺾이는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무는 한국인의 밥상에 빠질 수 없는 채소로 김치, 국, 장아찌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특히 가을에 심은 무는 조직이 단단하고 당도가 높아 저장성도 뛰어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을무 심기 적기, 재배 방법, 관리 요령, 병충해 예방, 수확 시기까지 모두 정리해 드립니다.

     

    가을무 심기 적기

    일반적으로 가을무 심기는 지역과 기온에 따라 조금 달라지지만,

     

    중부 지방은 8월 하순~9월 초, 남부 지방은 9월 중순까지가 적기입니다.

     

    너무 일찍 파종하면 무가 물러지고, 너무 늦으면 겨울이 오기 전에 제대로 자라지 못하므로

     

    시기를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양 준비

    •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가 이상적입니다.
    • 밭을 갈아엎고 퇴비를 섞어 토양을 비옥하게 합니다.
    • 밭을 고르게 다진 후 파종 줄을 만들면 발아율이 높아집니다.

    파종 방법

    1. 줄 간격은 25~30cm, 포기 간격은 15cm 정도로 합니다.
    2. 씨앗은 2~3알씩 1cm 깊이로 심습니다.
    3. 발아 후에는 건강한 모종만 남기고 솎아주기를 해야 무가 고르게 자랍니다.

    관리 요령

    가을무는 비교적 재배가 쉽지만, 가을무 심기 후 첫 2주간은 수분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발아기에 물을 충분히 주어야 고른 싹이 나오며, 생육기에는 토양이 마르지 않도록 유지합니다.

     

    다만 장마철처럼 과습하면 뿌리썩음병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배수 관리가 필수입니다.

    비료 주기

    • 밑거름: 퇴비, 질소, 인산, 칼리 비료를 균형 있게 섞어줍니다.
    • 웃거름: 파종 후 20일, 40일 즈음에 주면 생육이 촉진됩니다.

    병충해 관리

    가을무 심기에서는 해충인 배추좀나방, 무잎벌레 등이 자주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망사를 덮어 예방하고, 친환경 자재를 사용해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또한 연작을 피하면 토양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확 시기와 보관

    파종 후 약 60~70일이면 수확이 가능합니다.

     

    크기가 손바닥만큼 자랐을 때 뽑는 것이 가장 아삭하고 단맛이 강합니다.

     

    수확한 무는 잎을 잘라내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2~3개월까지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가을무 심기 꿀팁 요약

    • 적기는 8월 하순~9월 중순
    • 줄 간격 25~30cm, 포기 간격 15cm
    • 씨앗은 2~3알, 발아 후 솎아내기
    • 수분 관리 철저, 배수 관리 중요
    • 60~70일 후 수확, 저장성 우수

    공식 참고 자료

    마무리

    가을무 심기는 초보 농부나 텃밭 가꾸기를 시작하는 분들에게도 도전하기 좋은 작물입니다. 시기와 방법만 잘 지키면 아삭하고 달큰한 무를 가을부터 겨울까지 맛볼 수 있습니다. 가족과 함께 직접 재배한 무로 김장이나 반찬을 만들면 그 맛이 더욱 특별해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