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현재, 신혼부부는 전세자금 대출 외에도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민생회복지원금’과 중복 수령 가능한 지역도 많아 실질적 체감 혜택이 큽니다.
⊕ 대상 조건 요약
- ⊕ 혼인신고 7년 이내
- ⊕ 무주택 또는 1주택 처분 조건
- ⊕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 ⊕ 지역 거주 요건 (3개월~6개월 이상 거주)
⊕ 주요 지원 항목 정리
구분내용
전세자금 대출 | 최대 2억~3억 원, 고정/변동금리 선택 가능 |
주거지원금 | 지역별로 월 최대 20만 원 보조 |
출산장려금/출산축하금 | 첫째 30만~100만 원, 둘째 이상 최대 300만 원 |
민생회복지원금 | 지자체에 따라 최대 52만 원 일시 지급 |
⊕ 실전 시뮬레이션
▶ 부부합산 소득 6천만 원, 서울 거주, 혼인 2년차 A씨 부부
⇒ 전세자금 대출: 2.5억 원 (보금자리론 연 3.8%)
⇒ 월 상환액 약 115만 원
⇒ 주거지원금: 월 20만 원
⇒ 민생회복지원금: 일시 50만 원
👉 실질 부담 감소 효과 약 400만 원 수준 (1년 기준)
⊕ 신청 방법
- ⊕ 전세자금 대출: HF공사, 은행 앱, 주택도시기금 포털
- ⊕ 주거지원금/민생회복금: 지자체 복지포털 (예: 서울복지재단, 경기도복지넷)
- ⊕ 출산지원금: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유의사항
- ※ 일부 지원금은 중복 수령 불가 (예: 서울형 청년주택 지원과 중복 불가)
- ※ 민생회복지원금은 신청 기간 한정 운영 중
- ※ 부부 중 한 명만 조건 충족해도 일부 지역은 신청 가능
📎 함께 보면 좋은 글
-
1편 민생회복지원금 총정리 (1·2차 포함) 🔗 바로가기 2편 긴급복지 생계비 중복수급 팁 🔗 바로가기 3편 지자체별 중복지원 정리표 🔗 바로가기 4편 긴급복지 vs 민생지원금 비교 🔗 바로가기 5편 청년·신혼·저소득층 복지 조합 🔗 바로가기 6편 기초생활수급 청년 혜택 총정리 🔗 바로가기 7편 청년수당 vs 민생회복금 우선순위 🔗 바로가기 8편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표 🔗 바로가기 9편 주거급여 신청 조건 및 절차 🔗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