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전기요금이 두렵지 않으신가요?
무더위 속 냉방기를 24시간 켜두는 가정이 많아지면서,
전기요금 폭탄에 대한 걱정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요금 누진세 구간만 잘 알아도,
그리고 복지할인 제도를 활용하면 얼마든지 요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기뿐만 아니라 상수도 요금까지 절약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 전기요금 누진세 구간 (2025년 기준)
한전 직원이 실제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누진세 구간은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
- 1단계: 0 ~ 200kWh → 93.3원 / kWh
- 2단계: 201 ~ 400kWh → 187.9원 / kWh
- 3단계: 401kWh 이상 → 280.6원 / kWh
즉, 에어컨을 계속 켜 두면 400kWh를 초과하면서 단가가 3배까지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이 구간만 잘 조절해도 요금을 크게 절감할 수 있죠.
✅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 (2025년)
한전에서는 다양한 복지대상자 전기요금 감면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상 | 할인 금액 |
---|---|
기초생활수급자 | 월 최대 16,000원 |
차상위계층 | 월 최대 8,000원 |
장애인 | 월 최대 16,000원 |
다자녀·대가족 | 월 최대 12,000원 |
복지할인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
소급적용은 안 되므로 빨리 신청할수록 유리합니다.
✅ 상수도 요금 조회 및 감면 제도
전기뿐만 아니라 수도요금 역시 복지대상자에게 감면 혜택이 주어집니다.
각 지자체 상수도사업소나 수도본부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감면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 장애인
- 다자녀 가구
- 독거노인
조회는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 공과금 절약 실전 팁 5가지
- 세탁기·에어컨은 시간 분산 사용하기
- 절전형 멀티탭, 절수기 설치하기
- 한전 요금계산기 앱 활용하기
- 복지할인 대상 여부 확인 후 신청하기
- 상수도·전기요금 모두 지자체 감면제도 적극 활용
📌 관련글 보기
🧾 마무리
“에어컨 계속 켜도 괜찮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정답은
‘누진세 구간만 조심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복지할인과 감면 제도를 놓치지 않는다면,
생각보다 공과금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우리 집 전기·수도요금 조회해 보시고, 쓸 수 있는 혜택은 꼭 챙기세요!
반응형